반응형


생리적 현상을 피할 수 없는 인간은 어쩔 수 없이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그리고 이런 필요성으로 탄생한 것이 바로 '변기'.

 



건강한 사람들은 매일 평균 225g의 배설물을 배출한다자 그럼 여기에 세계 인구를 곱해보자

 72억 인구라고 한다면 매일 배출되는 사람의 배설물만 178만 톤에 이른다


대한민국 K-2 흑표 전차가 약 56톤 정도되니 비교해보면 아마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는 걸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 엄청난 양의 배설물을 고이 모셔둘 수는 없는 일이라 어딘가로 흘려 보내거나 어떤 식으로든 처리해야 한다는 것.

 



그래서 과거 아시아 문화권의 농민들은 수세기 동안 공용화장실에 쌓인 배설물을 농작물을 위한 천연비료로써 이용했다


특히 중국은 4천 년 동안이나 인구 과열을 겪어온 나라인지라 

그 배설물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에 대해 더욱 민감했으니 일부나마 농사에 이용하려 했음은 말할 것도 없었다


나아가 태국에선 사육하는 돼지의 먹이로 배설물을 활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배설물에 대한 서양권에서의 인식은 조금 달랐다


어떻게든 실생활에 활용하고자 했던 동양권에 비해 

서양권에서 배설물은 그저 냄새나고 더러운 무용의 쓰레기에 불과했던 것이다


동양권보다 서양권에서 일찍이 배설물 처리시설인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게 된 이유도 이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우선 현대인들이 평균 5번 정도 이용하는 자기 소재의 '사이펀 변기'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우리는 일상 속에서 매일매일 이 변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면에 다양한 원리가 숨겨져 있다는 사실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변기 물이 내려가는 핵심 원리는 중력이다

6리터의 물이 바로 이 중력의 힘을 빌어 물탱크에서 변기통으로 흘러내리며 배설물을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흔히 변기를 뜯어볼 때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앞서 말했듯 하나는 물탱크이고 하나는 변기통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은 바로 S자 커브 곡선의 배수관 구조이다.




자 반으로 잘린 변기의 내부를 살펴보자


배관공들은 이 S자 배수관의 경사를 흔히 '웨어'라고 부르는데 

이 부분이 변기 내에 고여있는 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아무리 변기를 사용해도 물 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리고 이 S트랩 배수관이 있음으로써 아래 하수관의 악취나 유독한 가스가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론 변기 내에 일정량의 물이 더 들어가면 배설물과 함께 변기물은 웨어를 넘어가게 된다


용변을 보고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누르는 레버가 물탱크의 6리터 물을 

변기 테두리와 아래 분출구로 흐르게 하면서 변기통을 씻고 배설물들을 변기 중앙으로 모아 흘려 보내는 것이다.




이때 웨어를 넘어 흘러가게 되는 물에는 사이펀의 원리(Siphon Effect)가 작용하게 된다

사이펀의 원리란 이동경로가 내용물로 가득 차면 기압차와 중력이 작용하여 경로의 높이와 상관없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변기 물을 내렸을 시 변기통에 가득 차오른 수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은 변기물을 웨어 뒤로 넘어가도록 하는 흐름을 만든다

그러면 이 지속적인 물의 흐름은 배수관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사이펀의 원리가 작동하게 하며 이로써 변기 내의 이물질들이 쓸려 내려가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변기 내에 가득 찬 물이 웨어를 넘어가면 그 후로는 아래로 향하는 배수관에 중력이 작용하면서 

다시금 물이 일정수준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오물을 배수관으로 흐르게 만드는 것이다.

 



변기 표면이 도자기로 만들어지는 것 또한 나름의 이유가 있다

도자기는 기본적으론 점토 재질이지만 굉장히 밀도가 높아서 절대 물이 스며들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의미로 박테리아특정 유기체나 세균도 달라붙어 살 수 없는 환경이라는 말이다.




우리가 보통 쉽게 생각하는 변기는 이처럼 뜻밖의 정교함을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여러 사회에서 지속적이고 혁신적인 시도가 있어왔을 만큼 인류 문명의 발전과 그 길을 함께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명의 발전에 있어 가장 큰 저해요소인 질병을 막기 위해 변기와 같은 위생 설비는 필수적이었으니까

실제로 소변 자체엔 세균이 없기 때문에 마셔도 상관없지만 대변은 얘기가 다르다.

 



대변은 75%의 수분과 10%의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15%의 박테리아로 구성되어 있다


대변이 보통 갈색을 띄는 것은 몸 밖으로 함께 배출되는 죽은 적혈구 잔여물 때문인데 

여기서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물질에는 특히 엄청난 양의 박테리아가 들어있다


악취는 바로 이 수십억 개의 박테리아가 만들어낸다.

 



물론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그저 소화를 돕는 무해한 세균들이지만 그중 몇몇은 매우 치명적이다

역사적으로 인간의 배설물과 관련된 질병으로서 악명 높은 것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그 첫 번째는 바로 콜레라(Cholera)

익히 알고 있듯이 극심한 탈수증세를 일으켜 하루 아침에 사람을 골로 보내기도 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두 번째는 장티푸스(Typhoid Fever)다

심한 부기나 발진고열메스꺼움을 동반하는 등 다양한 증상을 띄는 질병으로서 굉장한 전염성을 보인다.

 



이처럼 문명의 발전은 배설물 처리그로 인한 질병과의 전쟁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고대 변기에 대한 사례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선 기원전 3000년 경 현재 스코틀랜드 북단에 위치한 스카라 브레(Skara Brae) 유적엔 원시적인 형태의 변소가 남아있다


각 집의 구석엔 낮은 칸막이로 마련한 공간과 땅을 파서 만들어 놓은 구멍바다로 통하는 나름의 배수관까지 있다

더불어 현대인과 마찬가지로 배설물을 물로 흘려 보냈다는 점에서 약 5000년 전에 만들어진 변소치곤 정교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사실 정교한 걸로 치면 지중해 연안 크레타 섬크노소스(Knossos) 궁전의 고대 변기에 비길 만한 것은 없다


대리석 좌석과 물탱크시대상으로 꽤나 훌륭한 배수 설비도 갖춰져 있으니까 말이다

물론 고대 로마인들이 들으면 섭섭할 소리지만.




로마가 번성할 수 있었던 수많은 이유 중 하나는 우수한 물 공급 체계와 배설물 처리 능력이었다


중산층에서도 제법 잘 사는 부류의 각 집에는 저마다의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었고 

이 화장실들은 그들이 개발한 공중 하수 설비와 연결되어 오물들을 오수 처리장으로 보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용했던 것은 공중 화장실로 기록에 따르면 서기 315년 로마에는 144개의 공중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었다

좌석은 긴 의자 형태로 아래에 흐르는 수로가 배설물을 흘려 보내는 구조였다.


특히 로마의 번영이 극에 달했을 당시에는 무려 420km 길이의 수로로 엄청난 양의 물을 도시에 공급할 수 있었으며 

노동자 계층의 로마인들도 하루 65L의 물을 소비할 수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러한 각 문명의 놀라운 배설물 처리 능력들도 종전에는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만다.




영국 엘리자베스 1세 통치가 막 시작된 시기

화려한 검술과 만돌린모리스 댄서들이 활약한 시대였으나 아직 변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온 천지사방에 변이 가득했다

집 안팎을 가리지 않고 말이다


조금 아이러니한 상황이 아닌가

수천 년 전 고대 로마에서도 수세식 변기를 사용했는데 하물며 16세기 중반 영국에 변기가 없었다니.

 



하지만 실제로 엘리자베스 1세 시대, 150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깨끗한 수세식 변기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일어났다


그전까진 귀족들조차도 대충 돌로 만들어진 화장실을 이용했고 배설물을 성의 해자 등으로 그냥 흘려 보내곤 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최초로 만들어진 현대적 수세식 변기는 

1596년 엘리자베스 1세의 대자존 헤링턴(John Harington) 경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름하여 에이작스(Ajax). 

옥외 변소를 뜻하는 제익스(Jakes)란 속어를 빗대 장난스럽게 부르곤 했던 명칭이었다.

 



기본적으로 이 에이작스 변기 위엔 나무 좌석이 비치되어 있었다

편하게 앉아서 변을 볼 수 있도록 말이다


그리고 용변이 끝난 후엔 손잡이를 당기면 뒤에 설치된 수조에서 물이 흘러나오며 배수관을 통해 배설물들을 정원으로 쓸어 보냈다.


당시엔 혁신적인 시도였다

일단 물은 고여있지 않더라도 변기통과 수조플래퍼 밸브까지 현대 변기의 기본적인 설비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니까

하지만 역시 배수관의 구조가 S트랩이 아닌 1자 구조였으므로 오늘날처럼 올라오는 악취를 막을 순 없었다.

 



존 헤링턴 경의 이런 혁신적 개발에도 불구하고 그 뒤로 수세기 동안 유럽인들은 제대로 된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지 못했다

그저 뒤뜰에 구멍을 파고 돌로 벽을 쌓은 변소를 이용했을 뿐이다


런던 사람들 역시 캄캄한 밤을 대비해 침실에 요강을 구비해놓았으며 

아침에는 어김없이 '가디 루'를 외치며 배설물을 그대로 창 밖에 쏟아버리곤 했다


여기서 '가디 루' "Regarde l'eau!", '물 조심하세요!'란 뜻의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차세대 변기가 개발된 것은 1775년 런던의 시계공인 알렉산더 커밍(Alexander Cumming)에 의해서였다


커밍의 수세식 변기는 하단부에 여닫이 덮개가 있어서 볼일이 끝나고 손잡이를 당기면 

이 덮개가 열렸다 닫히며 배설물은 흘러가고 다시금 변기통엔 깨끗한 물이 고이는 식이었다


더불어 커밍의 변기엔 S자 배수관도 마련되어 지독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인 하수 시설은 아직 적절히 완비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따라서 정화조는 곧 오물로 넘쳐났고 많은 양의 부패한 배설물들이 땅 속으로 스며들었다

가정에서 버린 배설물 섞인 하수가 땅 속으로 스며들었기에 이제 이웃집나아가 온 마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더구나 당시엔 배수관이 있었다 하더라도 오물이 향하는 곳은 결국 마을의 수원인 인근 강이었기에 

사람들은 전날 버린 배설물이 섞인 물을 스스로 마시는 꼴이었다.

 



그리하여 19세기 무렵엔 10명의 아이가 태어나면 성인이 되기 전 8명이 질병으로 죽어나가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바로 콜레라 때문에 말이다


콜레라는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이동해왔다

1832년엔 파리와 런던에 상륙했으며 1831~1832년 사이에 영국에선 약 5만 명의 사람들이 이 콜레라로 인해 사망했고 

파리에선 여름 동안에만 18,000여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이 지독한 콜레라 전염병은 32년 같은 해 미국의 보스턴과 필라델피아에까지 이른다.

 



피어난 문명의 한 자락인 줄 알았던 수세식 변기의 발달은 이렇듯 되려 서양권 국가들에게 재앙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전염병 문제가 심각해지자 사람들은 단순한 발상에서 비롯된 해결책을 내놓는데 

오물을 씻어내기 위해 더 많은 물을 사용하자는 것이었다.

 



따라서 제정된 1848년 영국의 공중보건법

이는 영국인들의 각 가정마다 화장실과 변기를 설치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1858년 대악취 사건(The Great Stink)을 야기했다

해결책이라고 내놓은 법안이 문제의 근본인 하수 처리 시스템의 개선은 아예 건드리지도 못했으니 당연한 결과였다.

 



영국의 1858년 여름은 유난히도 길고 더웠다

늘어난 변기에 의해 더욱 많아진 하수는 강둑에 쌓이기 시작했고 빠르게 부패해갔다


정말이지 그 악취란 말로 형용할 수 없을 정도였다.

 



유례없는 충격을 안겨줬던 이 대악취 사건.


그 이후 영국 정치가들은 드디어 하수 처리 시스템에 눈을 돌렸고 

이윽고 주변 여러 나라들도 앞다투어 많은 비용을 들이며 효과적인 하수 처리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

 



자 그렇다면 과거 배기차비행기 등 탈것 안에서의 용변은 어떻게 처리되었을까


항해하는 선원들의 경우엔 사실 따로 변기란 게 필요가 없었다

바다가 곧 변소요하수구였으니까


다만 변소는 항상 뱃머리에 마련되어 있었는데 그래야 오물들이 시시각각 부딪치는 파도에 즉각 씻겨 내려갈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선원들은 화장실을 헤드(Head)로 불렀다.

 



산업 혁명의 대명사로 통하는 증기기관의 개발로 등장하게 된 기차의 변소는 어땠을까


초창기 그레이트 웨스턴(Great Western Railway) 철도회사가 운영한 

1841년의 브리스톨-런던행 기차만 해도 내부엔 변기는커녕 화장실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 부분에서 선두를 달린 것은 미국 철도사였다


바닥에 구멍이 있는 깔때기 모양의 용기를 설치하고 

배설물은 구멍을 통해 그대로 선로에 내다버리는 방식으로 기차 내에 변기를 마련한 것이다


달리며 배설물을 내뱉는 기차라니

꽤나 우스꽝스럽게 들리지만 미국 국영 철도회사 암트랙(Amtrak)에선 2000년까지 이 방법을 사용했다.

 



비행기 역시 마찬가지였다

초기 비행기의 변기는 밖으로 연결되는 호스를 부착한 깔때기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세계 2차대전이 한창이던 무렵엔 나름 변기통 모습을 갖춘 양동이로 대체되었다.


이렇듯 그냥 밖으로 배설물을 내다버리던 원시적인 방식의 변기에 변화가 찾아온 건 화학기술과 진공시스템의 진보 덕분이었다




착륙시까지 정화조에 배설물을 보관해두는 방식이 마련되면서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른 것은 올라오는 악취와 똥물을 역류하게 하는 난기류였다.


그런데 진공 시스템이 잔여물 없이 깨끗이 변기 내 배설물을 처리해 정화조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해주었고 

화학 약품이 다시금 변기를 씻어줌에 따라 악취 문제 또한 해결해주었다.




사실 오늘날 비행기에서는 일정 고도에서 생기는 외내부의 압력 차를 이용하여 

따로 진공모터를 쓰지 않고도 배설물을 처리하고 정화조를 진공상태로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우주 비행선은 어떤 형태의 변기를 갖추고 있을까

우주선의 변기는 기본적으로 앞서 살펴본 배기차비행기의 변기와 배설물 처리 원리부터 그 궤를 달리한다


왜냐고알다시피 우주 한복판에선 인위적으로 만들지 않는 한 중력이란 게 존재하지 않으니까.




그래서 1962년 나사는 월풀(Whirlpool)사에 이 문제의 해결을 의뢰했다


그리고 3년에 걸친 연구와 실험을 통해 개발된 우주비행사용 변기는 두 개의 비닐주머니였다

하나는 소변다른 하나는 대변을 처리하기 위한 용기였다.

 



소변의 경우엔 처리에 있어 별다른 불편함이 없었다

용기에 소변을 본 후우주선 내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그대로 내다버리면 됐으니까


그러면 소변은 방출된 그 즉시 수천 개의 작은 얼음 알갱이로 변했는데 

무서울 정도의 냉기가 지배하고 있는 우주 공간 특유의 성질 때문이었다.

 



헌데 어처구니 없게도 이 작은 얼음 알갱이들에 빛이 반사되면 놀랍도록 아름다운 장면이 연출되곤 했다


그래서 1965년 발사된 제미니 7호의 우주인들은 자신들 소변이 우주 공간에 배출되는 것을 지켜보며 유리온(Urion)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소변을 뜻하는 Urine에 별자리인 오리온(Orion)을 합쳐 만든 그들만의 은어인 셈이었다.




그러나 대변은 경우가 좀 달랐다


일단 용변을 보면 비닐주머니를 화학살균제를 함께 밀봉한 뒤 잘 섞이도록 대변을 밀가루 반죽마냥 한참 주물러줘야 했던 것이다


게다가 비닐을 엉덩이에 밀착시켜 대변을 모은다는 게 보통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실수하면 본인의 대변이 우주선 내를 둥둥 떠다니는 불상사가 일어나곤 했다.




실제로 얼마 전, 'NASA's Turd'로 지칭되는 

아폴로 10 '미확인 배설물체 사건'이 기록된 기밀 문건이 공개되며 세계인들의 웃음을 산 일이 있었다.



CONFIDENTIAL "기밀 문건"


CDR (Thomas P. Stafford) : Oh - Who did it? "아 누가 싼 거야?"

 

CMP (John W. Young) : Who did what? "누가 뭘 했는데?"

 

LMP (Eugene A. Cernan) : What? "뭔데?"

 

CDR : Who did it? (Laughter) "누가 싼 거냐고" (웃음)

 

LMP : Where did that come from? "저게 어디서 나온거야?"

 

CDR : Give me a napkin quick. There's a turd floating through the air.

"누가 빨리 휴지 좀 줘여기 똥이 둥둥 떠다니고 있다고"

 

CMP : I didn't do it. It ain't one of mine. "내가 싼 거 아냐저 똥 내 것이 아니라고"

 

LMP : I don't think it's one of mine. "내 것도 아닌데?"

 

CDR : Mine was a little more sticky than that. Throw that away.

"내 것은 좀 더 끈적끈적해일단 저거 빨리 버려"

 

CMP : God almighty. "아 씨발"

 

SC : (Laughter) "웃음"




1973년 스카이랩(Skylab)이 발사되면서 나사는 WCS(Waste Collection System), 좀 더 변기다운 변기를 선보인다


진공청소기의 원리를 이용해 대변을 빨아들여 저장 탱크에 담도록 하는 변기였다

그리고 스페이스 셔틀 시대에 이르러서는 보다 완벽한 진공청소기식 우주 변기가 등장했다.




오늘날 우주 변기는 좀 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수거한 대변을 진공 건조시키는 기술까지 접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비행사들의 건강상태를 검진하기도 한다


물론 우주비행사들이 머무는 공간은 어디까지나 우주이므로 직접적인 변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성인용 기저귀나 선외활동 우주복에 설치된 소변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일도 적지 않다.




이렇듯 우리는 우주에서조차도 변기 없인 살아갈 수 없다

하지만 보통 화장실이나 욕실 좀 쓰겠다고 말하지 당당히 변기 좀 쓴다고 말하는 이는 아무도 없다


상식적으로도 욕조보다야 변기를 쓰는 일이 훨씬 많은데 영어조차 Bathroom이라 칭하지 Toilet-Room이라고 부르진 않잖아?




그렇다면 이토록 용변 보는 일을 사적이고 금기시하는 풍토는 언제 형성된 것일까


적어도 19세기 전엔 이런 문화가 전반적이지 않았다


남녀구분도 없고 특히 활성화되어 있었던 고대 로마의 공용화장실을 제외하고도 

여러 문화권에서 여러 좌석이 딸린 옥외 변소가 발견된 바여러 사람이 함께 용변을 보는 일은 이상할 게 없었던 것이다.

 



조금씩 변화가 생긴 것은 바로 영국 빅토리아 시대(Victorian Era : 1837~1901). 


이 시기를 거치며 사람들은 신체에 대한 얘기조차 금기 사항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 여파로 도서관에서 남성과 여성 좌석이 따로 나눠지는 일도 있었으며

개인 화장실에 대한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20세기 초 집집마다 화장실이 생기는 데도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에 대해 부끄러움을 표출하는 일은 동양보다 서양권에서 훨씬 심했다


화장실용 휴지가 처음 판매된 1895년 스콧 페이퍼 컴퍼니(Scott Paper Company)의 스콧 형제도 

제품 이름이나 홍보에 변기에 관련된 언급은 일절 하지 못했던 것이다.




대중문화의 영향도 지대했는데 20세기 내내 미국 방송국에서는 스쳐서라도 변기에 관련된 내용은 절대 다루지 않았다


실제로 1960 NBC 'The Tonight Show' 진행자 잭 파(Jack Harold Paar)가 변소(Water Closet)라는 말을 사용하자 방송사 측에서 이를 삭제해버렸고 

1970년대 드라마 'All in the Family'가 히트를 칠 때까지 텔레비전에선 화장실 물 내려가는 소리조차 방영되지 않았다.

 



게다가 사실 영어권에서 변기를 뜻하는 완곡한 표현

'Toilet'도 19세기 특별한 행사가 있는 날을 위해 아침 세수부터 옷 입는 것까지 이 모든 과정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빅토리아 시대의 변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지금도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분명한 건 변기는 역사적으로 어떤 식으로든 인류 문명과 함께해 왔으며 

우리 삶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물건이라는 것이다


앞으로 또 어떤 기술이 발전하며 새롭게 변모할 지는 알 수 없지만 

먼 미래에도 변기는 우리와 함께할 것이다.






긴 글 읽어줘서 고맙다


자료 출처는 NGC, 구글 이미지




3줄 요약

1. 역사적으로 인류에게 있어 배설물 처리 시설은 필수적이었다.

2. 따라서 차츰 변기가 개발되었고 이는 여러 운송수단에까지 설치되었다.

3. 변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해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기는 언제까지나 우리와 함께할 것이다.


반응형
by 발전소장 에르 :) 2018. 12. 6. 00:16
반응형

반갑습니다! 발전소장 에르입니다! 나무위키나 위키디피아를 통해서 평소에 궁금증을 해소하던 차에

위키디피아와 나무위키와는 별개로 디씨위키처럼! 

극우사이트라고 알려진 일간베스트에서도 정보관련된 글을 다루는 카테고리가

구글링되는 것이 아니겠어요?

혹시나싶어 들어가서 좀 읽어보니, 상당히 유익한 글들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기존에 있던 "일간베스트"에 대한 색안경은 벗어주시고,

순수히 정보전달 및 학습 목적에서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 불편러분들은 사양입니다~

(다소, 해당 글에 거슬리는 말투가 있을 수 있으나 양해 바랍니다.)





1부:https://www.ilbe.com/9100931602

12314 (15).jpg

2010년  말레이시아 파홍   휴양림에서  



물놀이중 한명은 실종되고  몇몇이 익사한상태로 발견


12314 (16).jpg

tumblr_oa9gzteS5i1rm0cvqo4_r2_400.gif


170여명의 구조대가 파견되어  



실종된 한놈을 찾았지만  발견할수없엇다 

12314 (17).jpg

강과 기슭을 훑었는데  5일동안이나   찾았지만 실패  


12314 (19).jpg


그런데  수색 3일째  이후부터 수색대 하나둘씩 


고열과  구토  피를토하기 시작했다 


aA1gxG2_460sa.gif

수색대 1 :  속이 뒤틀리고 오바이트가 쏠리고  머리가 아파염!!! 

12314 (21).jpg

4444.png

의느:  가벼운  식중독이네   처방전 써줌  약먹고  집에가서 자라 이기



12314 (22).jpg

그리곤 

tumblr_odw9g0liOU1v1f6upo8_r1_250.gif

  24시간만에 사망 


12314 (23).jpg  

aA1gxG2_460sa.gif 


환자2:   고열과  근육 및 관절통 설사를 존나해염!!!  



12314 (25).jpg

4444.png 


의느 : 응 넌 댕기열  주사맞고 처방전  먹어~ !! 

12314 (29).jpg

tumblr_mz5adpDNBK1rnr355o1_500.gif 

또 48시간안에 사망.. 





여러  증세를 보고 정확히 처방했는데   9명중 4명이   바로   죽었다......     



의사는  어리둥절해서    사망자들을  살펴보니 


12314 (32).jpg

모두 휴양림 실종자 구조팀



12314 (33).jpg

뭔가 이상해서  구조팀 입원한놈들


tumblr_n9jwv4HhfG1tz8qg0o9_250.gif

시름시름 앓는놈들 싹다  모아놓고  혈액검사를 해봣더니   


'렙토스피라라는 세균'  을 발견하였다 


12314 (35).jpg

쥐가 주 보균체인 이 질병은  


사람들이 먹고 남긴걸 먹고 사람에게 노출되면  걸림 


수색한  주변에 쥐똥 존나보였고 쥐구멍도  많다  

tumblr_o9vm8fBmpg1r8qi7po5_500.gif

분명한 쥐로인한   인과관계가 보였다  !!!

4444.png 


  그래 !! 범인은 쥐닷!!1  



12314 (40).jpg

렙토스피라병 치료를 시작햇지만 .. 


12314 (41).jpg

그래도 빠르게 뒤져나갔따 


tumblr_mz5adpDNBK1rnr355o1_500.gif 

  다음환자는 폐렴으로 죽었다...  


tumblr_n7sgmyD0jw1twj1wao1_500.gif

뭐지??!!!



12314 (31).jpg

의사는  답이없어서   당국 보건부에  연락하였고 




a25jD2E_460sa.gif

바통터치~  





12314 (43).jpg


보건부 역학 조사팀은   실종  수색대의 이동경로에서 


수색대가 먹은 음식 소변  등의 모든 흔적을 수집해서 


12314 (45).jpg

관찰하던중 랩토스피라균외에   


tumblr_n9jwv4HhfG1tz8qg0o9_250.gif 

한가지 이상한 세균을 발견했다 

12314 (46).jpg

잠재적이지만   치명적인 한놈

12314 (48).jpg


윾비저 찡

12314 (47).jpg

4444.png 

의느님들 :  그게뭐죠???????????????????????????????????????????????????????????



tumblr_n3wqklvY0i1sz9pbco4_r2_250.gif 

유비저는 

12314 (49).jpg

땅속의 악마 


12314 (50).jpg


대략 땅속10~20센치 아래에서 


 놀다가  모내기할때 물에 섞여있다가 발의 상처를통해 침입하거나 


12314 (56).jpg

빗물에의해 공기중으로  방출이되어 감염되는데   



 구조팀 현장엔 밭은없었고  오로지 공기중으로만  감염된건데   


aVDjbxP_460sa.gif

그렇다면   수색한 5일중 단 2일만 비가내렸다...  그때 이빠이 감염된것.. 

12314 (59).jpg

4444.png

2일만에.. 



12314 (132).jpg

tumblr_n3wqklvY0i1sz9pbco4_r2_250.gif 

또한 이 세균은   오로지 인간만 죽인다

1234 (1).jpg

다행인건   사람끼리 전파가 안된다는것


 일단  숙주와 함께 죽는 으리세균 


땅에서 만나서 함께한후 깔끔하게 그놈만   지옥으로 데려감  


1234 (3).jpg

 


요근래에 알아낸 사실은 


말레이  파홍에선  이미 50프로나 되는 사람에게서  걸렸다 자가 치료된   흔적을 찾음... 


4444.png

별거 아니네염 


우리몸에 면역체계에서  어느정도 좆발라버릴수도 있다는거  아닌가염?



tumblr_n3wqklvY0i1sz9pbco4_r2_250.gif 

하지만  이건 완치가없다  재발도 하고  일단  증세가 발생되면


aVeQMjP_460sa.gif

 치사율은  평균 40%  ..... 


 재발했다고 해서 면역력이 있고 그런거없이 무조건   40%  항상 동전뒤집기 ..

1234 (21).jpg

제일  많이 죽는 부류가  혈류로 들어간후 


tumblr_n3wqklvY0i1sz9pbco4_r2_250.gif 

 패혈증을 발생시키면서 죽는것...


제일 빠르게  24시간안에 죽음 



최대한 늦더라도 48시간안엔  반드시 숙주를  죽임 

1234 (14).jpg


보통 세균이들어오면  


우리몸안에 백혈구가  들어가서  세균을 쳐묵쳐묵 하지만 

 


1234 (15).jpg

이새끼들은   들어와서 빠르게 


  성큰처럼  뿌리를내리고 


 캡슐로 감싼후   캡슐 표면에 항원을 만들어      방어하고  확장해염~   


1234 (17).jpg

그렇기에  세균은 생존하고 증식할수있어염~ 


1234 (18).jpg

헤헤헤헤헤~  헤헤헤헤헤헤헤헤헤ㅔ헤헤헤헤헤  다이스키..  


aaWGxbxo_700wa_0.gif

...................??????????????????응?????





1234 (24).jpg 

특히 태국에서  발병이 많은데  

1234 (26).jpg

사망율은 50%


1234 (28).jpg


몇몇  테러단체나    북한같은 테러국들은


유비저 냄새를 맡기 시작했고  



군사목적으로 연구하다가   여러번 딱걸린 사례들이  발견되며  선진국이 발칵뒤집힘  


1234 (30).jpg

영국은 이미  방콬 옥스퍼드 연구소에서  

1234 (32).jpg

억제 수준 3 ( 탄저균 사스 메르스와   동급위험물  ) 로 해놓고 배양 보관중 



1234 (58).jpg

유비저균은  동남아에서 호주북부까지 분포되어있는데 


동남아는 후진애들이라  치료가 허접하다고해도  


1234 (37).jpg

캥거루는 대응이 달랐다 


  텃밭 가꾸는 주민들이


 자주 뒤지는걸 본 갓양인들은   대책을 세웠고  

1234 (42).jpg

호주국은  비교적 일찍 주목


1980년 부터    연구하기시작


1234 (43).jpg

즉시 진단검사 라는걸  만들었는데  


일단 증상보이면  이게 유비저 인지    딴건지 전혀 알방도가없어서   


빠르게  진단안하면   48시간안에 뒤지니까  

1234 (46).jpg

환자의 타액이나  혈액을   특정 시약에 반응시켜 진단후 



유비저가 뿌리내리고  활성화되기전에  정체를 밝혀내고  


  항생제를  몰빵 때려박아 박살낸다..




1234 (78).jpg

또한  최근 런던임페리얼 대학 국제연구팀이  5년의 연구끝에 

1234 (79).jpg

유비저  면역 단백질을 찾아냈는데 

1234 (80).jpg

백신까진 아직 완전하진 않지만  

1234 (83).jpg 

많이 따라잡았다   


 1234 (77).jpg

기존엔  백신도 없었고     


 조기발견해서  뿌리내리기전에  항생제로만   겨우 치료하던 수준에서  꽤나 놀랄만한 성과 


왤케 빨리 개발 됬냐고?? 

1234 (84).jpg


여러 테러단체들이 연구하는걸  봤거든.. 


 군인들에게 이 백신을 놓으면  싸울수 있기때문..  


생물학적 무기 치료약이나 백신들은   비교적  빨리개발되염 

<<<원작자!



ps. 2부완  


반응형
by 발전소장 에르 :) 2016. 12. 5. 16:30
반응형

반갑습니다! 발전소장 에르입니다! 나무위키나 위키디피아를 통해서 평소에 궁금증을 해소하던 차에

위키디피아와 나무위키와는 별개로 디씨위키처럼! 

극우사이트라고 알려진 일간베스트에서도 정보관련된 글을 다루는 카테고리가

구글링되는 것이 아니겠어요?

혹시나싶어 들어가서 좀 읽어보니, 상당히 유익한 글들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기존에 있던 "일간베스트"에 대한 색안경은 벗어주시고,

순수히 정보전달 및 학습 목적에서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 불편러분들은 사양입니다~

(다소, 해당 글에 거슬리는 말투가 있을 수 있으나 양해 바랍니다.)



<<--원작자





20160925_234416.gif 

20세기   유럽 열강은   지구에 이곳저곳을 식민화하면서  많은 세균들을 발견했는데..


12314 (5).jpg


말레이시아 인도  일대에서    독특한  능력을 지닌 세균을 하나 포착 


tumblr_mvnvanxz8F1rhhw7fo1_500.gif 


공기중에  잘 떠돌아다니는 ㅆㅅㅌㅊ 능력을


지닌 이 세균을   '마비저'라 불렀다   

12314 (79).jpg

마비저는   


말과 당나귀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세균이었지만  



인간에게는 전혀  감염되지않았고 ..  


12314 (3).jpg

1차대전때  독일군이  마비저로 


 연합군의  말을 감염시켜 죽이거나    

12314 (4).jpg

성진국이    세균의 이동 능력을 아주 ㅆㅅㅌㅊ로 보고 

12314 (7).jpg

액체상태로  공중에서  뿌리면    사람죽이기에    아주 다이스키 할거같아서   

 

tumblr_ogg28g8ooB1uxd9mdo4_400.gif 

  731부대가    생물학적 무기로  만들려고  


   전쟁포로나 범죄자 식민지 김치등을   대상으로  마루타하여 실험하였지만.....        






   결국 인간에게 전염시킬  방도를 찾아내지 못한다..



12314 (67).jpg


하지만  1차대전 이전에      1911



 인도의 군의관으로 배속된 두명의 영국 의사가   



12314 (71).jpg

인도나 말레이시아 식민지새끼들    뻑하면  자연성질병으로 매일 뒤지니까   

20160731_142235.gif 

식민지인들이  많이 걸리는   질병 증상  원인을 알수없게  뒤진  시체들을  부검하며 추적하던중     


 12314 (72).jpg


마비저와 관련된    매우 비슷한 세균을 발견 .... 


 하지만 절대 마비저는 아니다..  

 

12314 (75).jpg

휘트모어 박사가   1차대전이 일어나기 2년전   



1912년  인도  의료지에 실었다 

a7y6YYr_460sa.gif 

이건   마비저의     증상도 생김새 출처도   비슷한데    



인간도 전염된다..치사율(40~70%)도 높다   


12314 (77).jpg 


그래서  마비저 2라고 안부르고     


'휘트모어병'으로 불리우기 시작


tumblr_nunr4eLc5R1udtg1oo1_400.gif 

마비저의 원인균과  매우 가까운  


친척뻘 될꺼라고 추론 하였다 


 12314 (13).jpg


이  세균은   인간이 존재하기도 전에도


 땅속에서 살던  고대의 세균  


12314 (52).jpg

지상으론 그닥 나가고 싶지 않았다   


지상생명체들이   어떻게 살던말던  노상관 


12314 (120).jpg

하지만 땅속에서 수천년동안 살면서 


tumblr_o1kx25IoW21tjhgrfo1_500.gif

많은 세균들이  땅속으로 기어 들어왔고    싸워서 이겨야만 살아남을수있엇다..

12314 (121).jpg

그렇게   아주 오랫동안  좆같은 땅속 환경에 버티고     


다른 세균들과    싸워가며   ㅆㅅㅌㅊ로 진화햇는데 

12314 (122).jpg 

게놈을   까보면   염색체가  두개다  


12314 (124).jpg

게다가 각각의 염색체의 dna는  다른 세균에 비해   2배가 많다 ..

12314 (126).jpg 

세균이   염색체가 두개인것도 존나 신기한데  

12314 (127).jpg

다른 세균이며 변종 유전물질을 전부 머금고있다 


tumblr_nqc6gkRnOk1sof2j2o1_500.gif 

1990년대에   게놈연구가 활발하던 시기  이 세균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은 존나 흥미롭고 신기했다..


기원은   수천년 아니 많게는  수십만년전   존재해왔다고 추정되었고  

12314 (125).jpg 


염색체도   2개에   염색체 각각의  dna 는 2배    변종 물질수용    아주   재밋는 놈!!!!  ㅆㅅㅌㅊ 


12314 (128).jpg


다른 세균들이 독립성을가지고  자기만의 특징을 추구할때 


이새끼들  두개의 염색체는  서로 정보를 교환 하다가   새로운 변종 세균이 등장하면    

12314 (129).jpg


받아들일지 아닐지를  좋은방향으로  골라서 진화한다...      이게 땅속에서  수많은 세균과 싸워서 이긴 이유....

aL2rVXg_460sa.gif 

변화를 두려워하지않는다..     그리곤 쓸만한  몇몇 변종 유전특성을   갖고있다가  


상황에 따라  특성을 사용할지 변화할지  결정한다 .. 

12314 (102).jpg



일단  에어로졸로 호흡기로  침투하건    맨발로 땅을 걷다가 상처로 침투하건   그냥 피부로 들어가건   방식은  존나많다..   


a5ZeRbG_460sv.mp4_20161117_200702.gif 

문제는 일단 침투하면  어디든지 갈수있다...   

12314 (103).jpg

간까지 가서 죠지고   폐나 비장으로도 침투하고  

12314 (104).jpg

심지어  자지에도 침입해 조진적도 있다 

12314 (105).jpg 


이새끼들  모든 장기를   다돌아다녀서 공격하는 바람에  증상이 존나게   랜덤  


===============================

이게 많은 세균과 싸워서 적립하고 강해진 결과  모든장기와  다 반응할수있다  

===============================

12314 (107).jpg ]

모든장기가  감염대상이라 

12314 (110).jpg 

폐렴인척도 하고  결핵인척도하는 


모방하는   달인..  

12314 (111).jpg


의사들은 유비저라고  진단하기가 존나 까다롭다 ..... .. 


  그래서 못사는  열대지방  시골에서    그냥  죽으면 의사들은  


응  네다 폐렴~

응  네다  결핵 ~ 

응 ~ 네다 간염 ~ 끝~ 


귀찮아 그냥묻어!! 



12965fccde76e8760e221a2c65c1a14f.gif 

혹시 이거  윾비저 아냐?????   읍읍   <== 라고 말도못꺼냄..  


12314 (9).jpg

79개국의 땅속에서 이 유비저균이   발견되엇는데  


일부국가의 의사들은   이 세균이 있는지도 몰랐다.. 

aVDjbxP_460sa.gif

그들은 비가오고     바람이불면   에어로졸화되어    떠돈다..      





그러다 2010년도  말레이시아 휴양림에서   대규모  유비저  감염이 발생하게되는데.. 


===========================

과연 인간은  이세균을  물리칠 수 있을까?

==========================

2부 무조건 씀 안쓰면  아이디 삭제함 

========================


반응형
by 발전소장 에르 :) 2016. 12. 5. 16:2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