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과학의 정수는 바로 우주 과학이 아닐까?
게이들 인터스텔라 봤지?
영국이 자랑하는 세계적인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그러나 고졸무직편피노일게이들에겐 단순히 정회원 일게이로 더 유명하지.
그가 얼마 전 놀라운 발표를 했다.
러시아 출신 억만 장자인 유리 밀너가 추진하는 인터스텔라 여행
즉, 태양계를 벗어나 다른 별로 우주선을 보내는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한다는 것이다.
일명 ‘Breakthrough Starshot initiative’라는 계획이 그것이다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는 빛으로도 4.3년. 거리로는 약 40조 km나 된다.
지구를 한 시간에 한 바퀴 도는 우주선으로도 10만년 이상 걸리는 먼 거리이다.
호킹 박사와 유리 밀너가 계획한 비행시간은 20년 정도.
빛으로도 4년 이상 걸리는 거리를 20년에 가려면 초속 6만km, 광속의 20%까지 빠르게 날아야 한다.
과연 이들은 어떻게 이 짧은 시간에 이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는 것일까?
빛을 이용한 우주 범선
이들이 찾은 해답은 아주 작은 우주선인 ‘나노크래프트’이다. 우표 크기 정도의 아주 얇은 실리콘 칩이 본체이고 여기에 빛의 압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돛이 달려 있다. 돛의 크기는 한 면이 약 1미터 정도. 전체 무게가 몇 g 정도인 초소형 우주범선이다
지구 궤도 근처에서 태양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들의 흐름인 태양풍의 압력은 약 1~6nPa 정도이다.
반면 태양빛에 의한 광압은 9μPa.
구체적인 단위는 차치해도 된다.
중요한 건 광압이 태양풍의 압력보다 1000배 이상 크다는 것.
태양풍에 비해 태양빛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혜성의 꼬리를 만드는 주된 압력도 태양풍이 아닌 태양빛의 압력, 즉 광압이다.
결국 지구 밖에서 우주범선을 띄우려면 태양풍이 아닌 태양빛에 의해 날아가는 범선을 띄워야한다.
빛을 이용한 인터스텔라 여행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는 프랑스의 소설가 쥘 베른에게서 나왔다.
쥘 베른은 이미 1865년, ‘지구에서 달까지(From the Earth to the Moon)’란 소설에서
빛을 이용한 인터스텔라 여행이 가능한 날이 올 것이라는 것을 예언했다.
그 후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많은 학자들이 빛의 압력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만들었다.
그리고 1976년 미국항공우주국은 태양빛을 이용한 우주범선에 대한 공식적 연구에 들어갔고
연구 결과 거대한 돛을 단 우주 범선을 태양 근처로 보낼 수만 있다면
태양빛의 압력으로 1000년 정도의 시간 안에 가장 가까운 별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문제는 돛의 크기가 100km가 넘어야 한다는 것.
결국 우주범선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얼마나 우주선을 가볍게 만들 수 있느냐 그리고
얼마나 강력한 빛으로 돛을 밀어줄 수 있느냐는 것이다.
RECENT COMMENT